1. 운영방침
언어생활은 자연스럽게 말과 글에 관심을 가지게 하여 그에 따른 기초적인 언어능력을 갖추어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을 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태도를 기르기 위한 영역이다. 따라서 조기에 개별유아의 장애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언어자극을 제공하여 일상생활에서 말과 글을 자연스럽고 즐겁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사회적 상호작용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집단・사회단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호적으로 이해하거나 어떤 반응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이는 언어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개별유아의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앞으로의 교육환경 적응에 목적은 둔다.
2. 운영의 실제
청각장애유아
청각보조도구(인공와우, 보청기)를 활용하여 호흡훈련, 발성-발화훈련, 청능 훈련을 기초로 청각-구어법(AVT : 듣기를 통한 구어습득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개별유아의 장애 정도와 특성에 적합한 개별화 교육계획(IEP)를 수립하여 주 3회 개별지도 및 학부모상담을 통한 가정연계교육을 실시한다.
지적장애유아
발달 단계별 수용언어에 대한 이해력과 그에 따른 표현 언어의 습득을 위해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중심, 생활중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아동별 장애유형과 정도, 특성에 따라 개별화 교육계획(IEP)를 수립하여 주 3회 개별지도 및 수준별 짝 수업, 학부모상담을 통한 가정연계교육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