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활동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정
1. 목표
- 가. 몸과 마음이 균형 있게 자랄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가진다.
- 나. 일상생활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기초 능력을 기르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경험을 가진다.
- 다. 다양한 직업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폭넓은 학습 경험을 가진다.
- 라. 우리의 전통과 문화를 이해하고, 애호하는 태도를 가진다.
- 마.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 생활 습관을 기르고, 이웃과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씨를 가진다.
- 바. 적합한 의사소통 양식의 활용을 통하여 기초적 언어 수행 능력을 기른다.
2. 운영계획
- 가. 연간 수업일수는 학교행사를 포함해서 180일 이상 운영한다.
- 나. 지도교사는 학년별 교과시간 배당을 근거로 하여 연간, 학기 간 주간 계획을 수립한다.
- 다. 학생 개개인의 차이를 고려한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한다.
- 라. 학습활동에 필요한 교재, 교구 및 시설을 갖추도록 한다.
- 마. 창의적체험활동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한다.
- 바. 지역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 사. 특기ㆍ특성 교육활동이 활성화되는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 아. 토요휴무제를 실시함에 따라 매주 토요일을 휴업일로 한다.
3. 지도 및 평가
- 가. 교과 간, 영역간의 관련성,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지도한다.
- 나. 생활을 위한, 생활에 의한 지도를 통하여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다. 가정과의 유대를 긴밀히 하여 건전한 생활습관이 정착되도록 한다.
- 라. 평가는 이미 설정된 개인별 성취 목표에 의거하여 목표 지향적인 평가를 한다.
- 마. 평가는 다양한 도구와 방법을 활용한다.
- 바. 객관도, 신뢰도, 타당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 사. 지적, 정의적, 기능적 측면이 골고루 평가되도록 평가척도를 구안하여 평가한다.
1. 목표
- 가.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언어 경험을 가진다.
- 나.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 생활 습관을 기른다.
- 다.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수량 학습 경험을 가진다.
- 라. 원만하고 슬기로운 사회생활에 필요한 과학적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
- 마. 건강한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신체 활동과 보건 위생 활동의 경험을 가진다.
- 바. 일상생활에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가진다.
- 사. 일을 즐기는 마음으로 직업 생활을 할 수 있는 폭넓은 학습 경험을 가진다.
- 아. 학습 기초 기능을 신장하여 기초 학습력을 높이고, 대인 관계를 원만하게 할 수 있는 사회적 기술을 개발한다.
- 자. 사회적ㆍ심리적 부적응 행동을 개선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사회적 기술을 개발한다.
2. 운영계획
- 가. 연간 수업일수는 학교행사를 포함해서 180일 이상 운영 한다.
- 나. 지도교사는 학년별 교과시간 배당을 근거로 하여 연간, 학기 간 주간계획을 수립한다.
- 다. 학생 개개인의 차이를 고려한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한다.
- 라. 학습활동에 필요한 교재, 교구 및 시설을 갖추도록 한다.
- 마. 창의적체험활동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한다.
- 바. 지역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 사. 특기ㆍ특성 교육활동이 활성화되는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 아. 토요휴무제를 실시함에 따라 매주 토요일을 휴업일로 한다.
3. 지도 및 평가
- 가. 교과 간, 영역간의 관련성,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지도한다.
- 나. 생활을 위한, 생활에 의한 지도를 통하여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다. 가정과의 유대를 긴밀히 하여 건전한 생활습관이 정착되도록 한다.
- 라. 실험, 실습, 관찰, 견학 등 다양한 학습활동을 통하여 지도한다.
- 마. 학생의 개인 특성에 알맞은 개별화 교육을 놀이 치료 교육 위주로 지도 한다.
- 바. 평가는 이미 설정된 개인별 성취 목표에 의거하여 목표 지향적인 평가를 한다.
- 사. 평가는 다양한 도구와 방법을 활용한다.
- 아. 객관도, 신뢰도, 타당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 자. 지적, 정의적, 기능적 측면이 골고루 평가되도록 평가척도를 구안하여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