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대전원명학교

변화하는 학교 아이디들에게 희망을 주는 고성교육

교육활동

전공과 운영

메인페이지 교육활동 전공과정부 전공과 운영


전공과 운영

1. 전공과 교육의 목표

전공과의 교육은 특수교육대상자(전공과 학생)에게 지역 사회 내에서 독립적으로 주거 생활 및 지역 사회 생활, 여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며, 직업 생활과 관련된 지식과 직무 수행 능력을 길러 맡은 분야의 일을 충실히 수행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개개인의 자아실현 및 보편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 ··주 생활의 기본 지식과 사회적·직업적 기능을 신장시켜 자립생활을 할 수 있게 한다.

. 직업 세계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을 통해 자신의 진로를 인식하여 계획하고, 직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직무에 관한 기본 소양을 가진다.

. 직업에 대한 기본적인 기능과 태도를 기르고, 적성과 흥미에 적합한 직종을 선택하여 원만한 직업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서 상호 협력하는 태도를 길러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시민으로서 역할과 자세를 인식하여 책임 있는 시민으로서의 의식과 태도를 가진다.

 

2. 전공과 운영계획

. 고등학교 과정을 졸업한 특수교육대상자의 진로 및 직업교육을 위하여 목표, 운영방침교육과정 등을 포함한 전공과 운영계획을 수립한다.

. 전공과 수업연한은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2년으로 정하여 운영한다.

. 학생 선발 및 입학에 대한 사항은 전공과 입학전형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의·의결한다.

. 교육과정은 학교장이 학생의 능력, 특성, 교육적 요구 및 교육환경 등을 고려하여 계획하고,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운영한다.

. 교육과정은 학생의 기본적인 기능과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운영한다.

. 개별 학생들의 적성, 흥미, 능력을 파악하고 학생 진로진학 상담카드를 활용한 체계적인 진로 지도를 실시한다.

. 학생들에게 취업이 가능한 직종을 개발하고 직업능력을 평가한다.

. 특수교육대상자의 성인기 삶으로의 전환을 위한 개별화전환교육계획을 수립 및 운영하여야 한다.

. 장애에 적절한 전환교육을 실시하며, 보호자의 동의하에 보호작업 실습 및 취업 활동여가 생활을 수행하도록 지원하여 자립 능력을 기른다.

. 현장실습은 전공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교내실습과 교외실습으로 구분하여 실시한다.

. 장애인고용공단 및 특수교육전환센터, 복지관, 지역 산업체등과 산학연계를 통한 직업적응 훈련 및 현장실습 지도를 실시하며취업으로 연결하여 사회의 일원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전공과 운영의 내실화를 위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환류하여 개선 자료로 활용한다.

 

3. 전공과 연간 운영 흐름

4. 전공과 교육과정